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근로계약 산업재해 임금 해고 징계 비정규직

by 머니이즈뭐니 2023. 6. 1.
반응형

알면 알수록 힘이 되는 노동법률 상식을 안내드립니다. 근로계약, 산업재해, 임금, 해고, 징계, 비정규직 관련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니 아래 내용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  차

1. 근로계약

2. 산업재해

3. 임금


4. 해고, 징계


5. 휴게, 휴일, 휴가

 

1. 근로계약

 

근로계약서는 일하기 전에 작성하여야 합니다. 

- 임금의 구성항목(시급/기본급/식비/수당 등), 계산방법, 지급방법, 노동시간, 근무 장소, 근무내용, 휴일, 휴가 등 노동조건

  이 명시되어있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는 노동자의 요구가 없어도 받드시 교부되어야 합니다.

 - 서면으로 작성해서 사용자 1부, 노동자 1부씩 보관하며

 - 서면명시 및 교부의무를 위반하면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노동법을 위반하는 근로계약은 무효입니다.

 - 최저임금 미달, 4대보험 미가입, 퇴직금 미발생 등으로 계약해도 노동법 위반이므로 무효입니다. 

 

 

2. 산업재해

 

업무상 사고, 질병이라면 누구라도 산재신청이 가능합니다. 

 - 노동자의 과실이 있어도 가능합니다.

 - 사업주가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 사업주가 산재신청에 동의해주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 비정규직, 외국인 노동자도 가능합니다.

 - 배달노동자, 대리기사 등 특수고용 노동자도 가능합니다.

 

산재 발생 시 대처요령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    분 대처요령
사고의 경우 목격자 진술확보, 재해현장 보존 및 사진촬영,
병원 진료기록에 일하다 다쳤다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설명
질병의 경우 작업환경에 관한 자료 확보, 전문가에게 도움 요청

*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됩니다. (통근버스, 대중교통, 자가용, 자전거, 도보 등)

 

3. 임금

 

최저임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내    용
2022년 9,160원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1,914,440원)
2023년 9,620원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010,580원)

법정노동시간은 1일 8시간이며, 1주 40시간입니다.

 - 노동자와 합의하여 1주 12시간까지 연장노동이 가능합니다. 

 - 휴일 연장 야간 초과노동은 각각 50% 이상 가산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18시 미만 연소자 법정 노동시간은 1일 7시간 , 1주 35시간입니다. 

 

1년 이상 근무했으면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근무기간 1년에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 지급하여야 합니다. (퇴직 후 14일 이내)

 - 파견직, 계약지, 일용직도 적용됩니다.

 

소액체당금 제도가 있습니다. 

 - 임금 퇴직금을 못 받은 경우, 최대 1,000만원까지 정부가 대신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4. 해고, 징계

 

정당한 사유와 절차가 없다면 부당해고에 해당 됩니다. 

 - 해고사유 및 시기를 서면으로 통보해야 효력이 인정됩니다. 

 

정당한 해고라도 예고는 필수입니다. 

 - 30일 전에 예고하거나 해고예고수당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자발적 퇴사가 아니라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부당해고가 인정되면 복직 및 임금보상 가능합니다.

 - 5인 이상 사업장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해고 후 3개월 이내)

   > 월 평균 임금 250만 원 미만 노동자는 국선노무사 무료 선임 가능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는 법원에 해고무효소송이 가능합니다. 

* 부당해고를 입증하려면 사직서는 절대 쓰면 안 됩니다.

 

5. 휴게, 휴일, 휴가

 

4시간 노동에 30분 이상 휴식을 보장하여야 합니다.

 - 휴게시간은 사용자의 감독 지시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쉴 수 있는 시간입니다.

 

주휴일과 노동절 (5월 1일), 법정공휴일은 유급휴일입니다.

 - 주휴일 : 1주 동안 개근하면 1일의 유급휴일 발생

 - 법정공휴일 : 3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5인 이상 사업장은 2022년부터 적용)

 

연차휴가

 - 1년 미만 노동자는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됩니다.

 - 1년 이상 노동자는 80% 이상 출근하면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됩니다.

 

가족 돌봄 휴가, 휴직

 - 돌봄 휴가는 연 10일 , 돌봄 휴직은 연 90일 사용가능합니다. (무급)

 

휴업수당

 - 사용자 귀책사유로 쉰다면 평균임금 70% 이상 휴업수당을 지급합니다.

 

구    분 사이트
천안시 비정규직지원센터 바로가기
울산북구 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 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 바로가기
광주비정규직지원센터 바로가기
부천시 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 바로가기
경남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바로가기
경기비정규직지원센터 바로가기
아산시비정규직지원센터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