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 목차 (Contents) 1. 청년도약계좌란? 2. 상품구분 3. 가입대상 4. 적립금액 5. 계약기간 6. 금리 1) 최고금리 2) 고시금리 3) 우대금리 7. 혜택 8. 가입절차 9. 정부기여금 |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 가입대상 관련문의 | 1397 서민금융콜센터 국번없이 ☎ 1397 - [3]번 | 
2. 상품구분 정기적금 (자유적립식)
3. 가입대상 다음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 요 건 | 대 상 | 
| 나 이 |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에 따라 최대 만 40세까지 가능) | 
| 개인소득 | 직전과세기간 총 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 가구소득 | 직전과세기간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 금융소득 종합과세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자 | 
4. 적립금액 최소 1천원 이상 월 70만 원 이내 (천 원 단위)
※ 연간 납입한도 : 840만원
5. 계약기간 5년제
6. 금리
1) 최고금리 연 6.0% ( '23.6.26. 현재, 세전 )
2) 고시금리 연 4.5% ( '23.6.26. 현재, 세전 )
| 기간 | 최초 3년 | 3년 이후 | 
| 기본금리 | 연 4.5% | 변동금리 | 
3) 우대금리 최고 연 1.5% p ( '23.6.26. 현재, 세전 )
| 구 분 | 우대조건 | 
| 소득 + 우대금리 | 최고 연0.5%p ※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 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 ■ 5회 : 0.5%p, 4회 : 0.4%p, 3회 : 0.3%p 2회 : 0.2%p, 1회 : 0.1%p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연금소득, 종교인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 
| ※ 다음 중 1개 이상 충족하는 경우 항목별 우대금리 제공 | |
| 구 분 | 우대조건 | 
| 주거래 우대금리 | 최고 연 1.0%p ■ 급여이체 : 0.5%p - 당행 급여이체 실적 (월 50만원 이상) 36개월 이상 * 급여이체 실적 인정기준 (다음 중 1개 이상 충족 시) ① 당행 급여이체 방식 IBK 영업점 창구 급여이체 또는 인터넷 뱅킹 급여이체 시스템을 통해 월 50만원 이상 입금 ② 기타 급여이체 방식 지로금대량이체, CMS대량이체, 타행환, 전자금융을 통해 급여, 월급, 상여금 등의 용어로 월 50만원 이상 입금 (단, IBK영업점 창구, 자동화기기 입금분은 인정 되지 않음) ③ 급여이체 지정일자 등록방식 급여이체 지정일자를 신청, 등록하고 앞뒤로 3영업일 (총7 영업일)이내에 월 50만원 입금 ■ 최초고객 : 0.3%p - 가입시점 최초고객* * 가입시점에 아래 2가지 요건 중 1가지 이상 충족 시 . 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 가입일 적전월 기준 6개월간 총수신평잔 0원 ■ 지로 공과금 : 0.2%p - 지로 공과금자동이체* 실적(월2건 이상) 36개월 이상 * 아파트관리비, 지로, CMS, 펌뱅킹 ■ 카드이용 : 0.2%p - 당행 신용(체크)카드 이용실적 연 평균 200만원이상 및 만기 시점까지 보유 ■ 마케팅 동의 : 0.1%p - 가입시점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수신 동의 상태 * 기존 미동의 고객이 계좌 신규 당일에 동의한 경우 포함 | 
7. 교육지원 IBK사이버문화센터 무료 수강
(어학, IT, 스포츠 등 다양한 학습과정 및 이벤트 제공)
8. 가입절차
① 가입신청 (i-ONE Bank(개인)) → ② 가입요건 확인 및 가입가능 여부 안내
(서민금융진흥원, 최대 3 주소요) → ③ 계좌개설
9. 정부기여금
본인 납입금액에 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적용한도와 지급비율을 차등 적용하여 지급
1) 지급금액
| 개인소득 | 납입한도 | 기여금 적용한도(月) | 기여금 지급비율 | 월 최대 정부기여금 | |
| 총 급여 | 종합소득 | ||||
| 2,400만원 이하 | 1,600만원 이하 | 70만원 | 40만원 | 6.0% | 24,000원 | 
| 3,600만원 이하 | 2,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000원 | |
| 4,800만원 이하 | 3,6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200원 | |
| 6,000만원 이하 |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000원 | |
| 6,000만원 초과 | 4,800만원 초과 | 미지급 | |||
※ 본인 납입금액과 기여금 적용한도 중 적은 금액 X 지급비율 = 월 정부기여금
2) 지급조건
만기해지 및 특별중도해지 계좌
3) 개인소득 구간 산정
개인소득 구간은 가입신청 시점 실시한 심사 결과에 따라 가입일 기준 1년 동안 적용되며,
1년 주기로 실시하는 개인소득 심사결과에 따라 정부 기여금 지급금액은 달라질 수 있음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속도로 표지판 용어 설명 (0) | 2023.08.27 | 
|---|---|
| RMB와 CNY의 차이를 알아보자 (0) | 2023.08.23 | 
| 비타민C의 긍정적인 효과 (학생) (2) | 2023.08.08 | 
| 전국 심야약국 연중 무휴약국 확인 (휴일약국) (0) | 2023.07.31 | 
| 역전세 반환대출 규제완화 (전세보증금 반환) (0) | 2023.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