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4월 시행] ‘혜택알리미’ 서비스, 놓치지 말아야 할 이유!

by 머니이즈뭐니 2025. 4. 30.
반응형

혜택알리미 서비스는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해 주고, 국민의 권리를 놓치지 않도록 돕는 새로운 디지털 행정의 시작입니다. 사회 초년생이든, 육아 중인 부모든, 은퇴 후 복지 혜택을 고민하는 시니어든 모두가 꼭 한 번 체크해봐야 할 서비스로 간단하게 관련 정보 공유해 볼까 합니다. 

 

목 차

1. 혜택알리미란?
2. 도입 배경과 목적
3.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
4. 이용 방법 (간단 설명)
5. 알아두면 좋은 팁

 

1. 혜택알리미란?

혜택알리미는 국민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 복지, 교육, 고용 등 다양한 혜택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한마디로,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뭔지 몰라서 못 받는” 일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 도입 배경과 목적

  • 정부 조사에 따르면 많은 국민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모르거나, 신청 방법이 복잡해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특히 청년, 신혼부부, 고령층, 구직자 등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계층에서 이런 일이 자주 발생했죠.
  • 그래서 정부는 디지털 행정 시스템을 활용해, 맞춤형 안내 서비스를 구축하게 된 것입니다.

 

3.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

 

2025년 4월 기준, 먼저 4개 분야의 약 800개 서비스가 안내 대상입니다.

  • 청년: 청년 주거·취업 지원금,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 구직자: 고용지원금, 재취업 교육비 지원 등
  • 출산·육아: 출산장려금, 부모급여, 육아휴직 급여 등
  • 소득 하위층: 기초생활수급, 에너지 바우처, 긴급복지 등

앞으로는 2026년까지 3,300여 개 서비스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4. 이용 방법 (간단 설명)

이용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1. 정부24, 복지로, 국민비서 등 주요 공공서비스 포털에 로그인
  2. ‘혜택알리미’ 메뉴에서 내 정보 기반 혜택을 확인
  3. 신청 가능 여부, 필요 서류 등까지 자동 안내

특히, '혜택알리미'는 국민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은행 앱 등 민간 앱에서 서비스를 가입,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됐습니다. 한번 가입하면 추가 접속하지 않아도 탈퇴 시까지 계속해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이용자가 직접 접속하여 찾아봐야 했던 기존 공공 누리집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기업은행

출처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 신한은행

 

출처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5. 알아두면 좋은 팁

  • 맞춤형 안내를 받으려면 정보 제공 동의가 필요합니다 (주민등록, 소득 정보 등).
  • SNS, 문자, 이메일 중 원하는 방식으로 알림 수신 설정이 가능합니다.
  • 알림을 받고도 신청하지 않으면 수급 시한을 놓칠 수 있으니 주의.
  • 연령·가구 상황이 바뀌면 새로 조회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