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관세전쟁이 뭐길래? 미중 갈등 쉽게 풀어보는 경제 이야기

by 머니이즈뭐니 2025. 4. 16.
반응형

요즘 뉴스에서 참 자주 듣고 있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미중 무역전쟁’ 혹은 ‘관세전쟁’입니다.  그런데 도대체 미국과 중국이 왜 싸웠고, 그게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 걸까요? 어렵게만 느껴지는 국제 경제 이야기를 오늘은 아주 쉽게 풀어드려 볼까 합니다.

목차

1. 관세전쟁이 뭐예요?
2. 어떻게 시작됐을까?
3. 왜 싸우는 걸까?
4. 과거 무역전쟁의 결과는?
5. 지금은 어떨까?
6.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7. 미중 관세전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5가지

 

 

1. 관세전쟁이 뭐예요?

 

‘관세’란, 한 나라가 외국에서 들어오는 물건에 붙이는 세금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 중국에서 만든 장난감에 관세를 부과하면, 그 장난감은 미국에 들어올 때 세금이 붙어서 더 비싸지는 거죠.

‘관세전쟁’은 이런 세금을 서로 올리면서 맞불을 놓는 경제 싸움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너네가 우리 제품에 세금 붙였지? 우리도 너희 제품에 세금 붙일 거야!” 하는 식입니다.

 

 

2. 어떻게 시작됐을까?

 

이 무역전쟁은 2018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도널드 트럼프는 “중국이 미국 기업에 불공정한 거래를 하고 있고, 지식재산권도 훔쳐간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죠. 중국도 가만있지 않았고, 미국산 제품에 똑같이 관세를 매기며 맞섰습니다.

이렇게 서로 왔다 갔다 하면서, 수백 가지 제품에 관세가 붙게 됐고, 피해는 결국 양쪽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돌아갔습니다.

 

 

3. 왜 싸우는 걸까?

 

트럼프 정부의 가장 큰 불만은 무역 적자였습니다. 미국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건이 많고, 중국에 수출하는 건 적어서 매년 엄청난 ‘무역 적자’를 보고 있었거든요. 게다가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을 지원해서 경쟁이 불공정하다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또한, 중국이 미국 기업의 기술을 강제로 넘기게 한다거나, 미국 소프트웨어나 앱의 중국 진출을 막는 것 등에 대한 불만도 컸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관세를 무기로 중국에 압박을 가하는 거지요.

 

 

4. 과거 무역전쟁의 결과는?

 

처음에는 서로 강하게 밀어붙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양국 모두 피해를 입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은 중국산 물건을 더 비싸게 사게 됐고, 중국 기업들도 미국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었죠. 농산물, 전자제품, 자동차 같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줬습니다.

결국 2020년에는 1단계 무역합의(Phase One Deal)라는 타협이 나왔습니다. 중국은 미국 제품을 더 사기로 약속하고, 미국은 일부 관세를 철회하거나 낮췄죠. 하지만 근본적인 갈등은 여전히 남아있었습니다.

 

 

5. 지금은 어떨까?

 

트럼프 대통령 이후, 조 바이든 정부도 관세를 완전히 없애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기술 경쟁이나 공급망 이슈에서 중국과 더 강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인공지능 같은 첨단 산업에서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고, 중국은 자립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어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였고, 이에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대응하고  있구요. 또한, 중국은 희토류 금속 수출을 중단하여 미국의 기술 산업에 큰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은 70개국과의 관세 협상을 통해 중국의 글로벌 무역 영향력을 제한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기술 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국산 희토류 금속의 수출 중단은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자원 공급에 차질을 빚게 하여, 미국 기업들의 생산과 공급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90일간의 관세 휴전 조치를 발표하였으나, 중국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갈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를 예고하며 국제적인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 현재, 미중 간의 관세전쟁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양국의 경제 및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국제 경제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6.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이런 갈등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나 스마트폰 같은 제품의 공급망이 꼬이거나, 수출입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또, 글로벌 경제가 흔들리면 물가가 오르거나,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단순히 두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과 연결돼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7. 미중 관세전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5가지

 

 

  • 수출 감소
    • 한국은 미국과 중국 모두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입니다.
    • 양국의 경기 둔화나 수입 규제 강화는 한국 제품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공급망 혼란
    •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 산업에서 중국산 원자재나 부품이 막히면 생산 차질이 발생합니다.
    • 특히 희토류 수출 제한은 한국 전자·자동차 산업에도 타격입니다.
  • 중국 내 한국 기업 피해
    •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미국과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거나 부품을 수입할 경우, 이중 제재 가능성도 있습니다.
    • 이는 매출 감소와 사업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환율 및 금융시장 불안정
    •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 달러 강세 및 원화 약세로 이어지고, 이는 수입물가 상승과 물가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외국인 투자자 이탈도 우려됩니다.
  • 무역 질서 재편에 따른 소외 가능성
    • 미국이 중국을 배제한 새로운 무역 블록을 추진하거나, 중국이 제3 국과 독자적인 공급망을 구성하면, 한국의 전략적 위치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